2017. 9. 3. 13:30ㆍ제테크 공부방
안녕하십니까 쩨리삼촌입니다. 주식투자를 하면서 매수타밍과 매도타이밍은 어떻게 설정해서 투자하고 계십니까? 오늘은 매수타이밍과 매도타이밍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일단 타이밍을 잡기 위해서는 기본적분석과 기술적분석을 사용하는데 기본적분석은 차트의 큰그림을 보기 위하여 사용하고, 기술적분석은 큰그림을 성정해 그려놓은 그림안에서 타이밍을 잡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기본적분석에서 큰그림으로는 상승, 하락, 횡보 이렇게 세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기술적분석으로 타이밍을 잡을 때는 동적지지와저항, 정적지지와저항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동적 지지선으로 매수타이밍을 잡을 때는 이동평균선, 상한선, 하한선, 기준선을 보고 매수타이밍에 접근하는데 상승추세에서는 이동평균선이 만나는 구간에서 매수타이밍을 잡고 하락추세에서는 이동평균선과 벌어지는 구간에 매도타이밍을 잡습니다. 상승추세에 많이 사용하고 하락추세에서는 추세 전환시점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동적 지지선으로 매도타이밍을 잡을 때는 매수관점과 반대로 하시면 되는데 상승추세에서 급등하는 구간일 때 매도타이밍을 잡고 하락추세에서 이동평균선이 만나는 구간에서 매도타이밍을 잡습니다. 급등시에 매도를 할 때는 사람마다 매도를 생각하는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뇌동매매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급등이 나오면 10%마다 vi가 발동되기 때문에 그 때 생각할 시간적 여유가 생기는데 천천히 지금이 고점인가를 생각해서 매도타이밍을 잡는것이 좋습니다. 사람마다 고점, 과열의 기준이 다르기에 누가 정답이고 누다 오답이라는건 없습니다. 만약 고점이라고 생각하고 14% 수익일 때 팔았는데 30%까지 오를 수도 있고 14%수익인데 아직 더 높이 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가지고 있다가 보합권 까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동적 지지선으로 매수타이밍을 잡을 때는 대부분 가격대마다 매물대가 있습니다. 이렇게 특정 구간에 지지선과 저항이 생기는 이유는 수금 주체의 단가가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서 신규상장주는 공모가가 단가로 생성되고, 유상증자가, 대주주의 평균단가, 특정 가격대 등이있습니다. 여기에 1000원, 2000원, 5000원, 1만원등등 사람의 심리가 완벽한 것을 추구하고 고정된 숫자에 민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정적 매수, 매도타이밍을 잡을 때는 박스권 매매와 비슷하게 매수 매도를 하시면 되는데 저항선과 지지선 사이에서 주가가 지지선에 가까워지면 매수를 하고 저항선에 가까워지면 매도를 하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식에서 항상 정답은 없기에 저항선에 가까워 졌다고해서 매수를 했는데 그대로 저항을 뚫고 강력한 매도세를 보이면 밑바닥까지 끌려내려 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저항이라고 생각하고 매도를 했는데 세력들이 주가를 끌어 올리기 위해서 호재 찌라시를 뿌리면서 강력한 상승세를 만들고 저항을 가뿐히 뚫고 연상을 치고 갈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주식은 기술적인 지식과 훈련이 필요하지만 운도 상당부분 차지합니다. 일반적인 개인 투자자들은 정보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기술적분석, 기본적분석, 차트분석 재무분석 등등 할 수있는 분석들을 하면서 투자를 해도 갑자기 악재가 터져버린다면 버틸 재간이 없습니다. 항상 마음을 편안히하고 수익권이라고 너무 자만해서도 안되고 뇌동매매를 해서는 안됩니다.
'제테크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절을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0) | 2017.09.05 |
---|---|
거래량과 거래대금 보는방법 (0) | 2017.09.04 |
ELS, ELW, ETF란 무엇인가 (0) | 2017.09.02 |
변동성완화장치란 (0) | 2017.09.01 |
공매도란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