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균형표란 무엇인가

2017. 9. 11. 20:18제테크 공부방

안녕하십니까 쪠리삼촌입니다. 주식을 하면서 일목균형표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처음 주식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매우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는데 다른 차트와는 다르게 선들이 매우 복잡하게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목균형표를 조금만 공부한다면 그렇게 복잡하지 않고 사용하기 좋은 지표입니다.

일목균형표는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1, 선행스팬2, 후행스팬 5가지의 선으로 주가를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우선 기준선이란 과거 26일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 값을 나타내는 선인데, 장중의 모든 고점과 저점을 포함하여 적용하여야하는 특이점이 있습니다.

전환선이란 기준선보다 좀 더 주가동향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선인데, 9일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으로 나타냅니다.

선행스팬과 후행스팬에서 스팬이란 일정한 기간이라는 의미이고, 선행스팬1은 당일의 기준선과 전환선의 중간 값으로 적용되는데, 당일의 중간 값이지만 26일 선행한 위치에 표시가 됩니다. 선행스팬2는 당일을 포함한 과거 52일 동안의 최고치와 최고치의 중간값인데, 선행스팬1과 같이 당일이 아니라 26일 선행한 위치에 표시가 됩니다.

후행스팬은 제일 간단한데 당일의 종가를 26일 후행하는 곳에 표시합니다.

일목균형표를 분석 할 때는 기준선과 전환선을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데, 기준선의 26일 동안의 평균이고, 전환선은 9일 동안의 평균입니다. 그렇기에 현 주가가 상승세일 경우에 전환선이 기준선보다 최근의 주가동향을 나타내기에 높은 위치에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현 주가가 하락세라면 전환선은 기준선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것입니다. 눈치 빠른 사람은 벌써 깨달았겠지만 이러한 패턴으로 봤을 때 전환선과 기준선의 위치가 바뀌는 시점을 추세 전환 시점으로 보고 교차지점에서 매매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일목균형표에서 기준선은 장기이동평균선의 역활을 하고, 전환선은 단기이동평균선의 열활을 하기 때문에,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 돌파한다면 매수 신호로 잡고,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 이탈한다면 매도신호로 잡습니다.

그리고 기준선의 방향으로도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데 기준선이 상승 추세이면 주가도 상승 추세이고, 기준선이 하락 추세이면 주가도 하락 추세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준선만을 보고 매매시점을 잡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기에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시점을 매매시점으로 잡는게 좋습니다.

'제테크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된 투자방법에 따른 투자지적  (0) 2017.09.13
볼린저밴드를 사용한 매매방법  (0) 2017.09.12
상대강도지수란 무엇인가  (0) 2017.09.10
상승추세 캔들패턴  (0) 2017.09.09
하락추세 캔들패턴  (0) 2017.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