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9. 10. 09:00ㆍ제테크 공부방
안녕하십니까 쩨리삼촌입니다. 종목 분석을 할 때 차트 보조지표도 활용을 하셔야 하는데 그중에 상대강도지수(RS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상대강도지수란 상대적인 강도의 지수라고 보통은 시장가격의 상승폭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을 하는 것인데, 상승추세일 때는 얼마나 상승세가 강한지, 하락추세일 때는 얼마나 하락세가 강한지를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해주는 지표입니다.
보통 RSI는 14일을 기본 지표로 사용하지만 9일이나 25일도 사용합니다. 기간을 짧게 잡고 사용하면 지표 수치가 올라가고 길게 사용하면 수치가 적어지는데, RSI는 자신의 매매성향이나 상황에 맞게 설정해서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RSI는 그 종목의 과매수나 과매도를 파악 할 수 있는데, 다이버전스를 분석하는 여러 지표들 중에서 성과가 상당히 높아 매수시점이나 매도시점을 파악하는데 좋습니다.
그렇다면 다이버전스란 주가의 흐름과 보조지표의 흐름이 다른 현상인데, 많은 보조지표들은 다이버전스를 통해 주가를 분석하고 예측하기도 하고, 그중에 RSI에 있어서 발생하는 다이버전스는 신뢰성이 높습니다.
상승 다이버전스는 주가는 하락하는데 보조지표는 상승하면서 고점은 높아지는 것으로 상승 다이버전스가 발생하였다면 이후에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예고 신호가 되기에 매수 타이밍을 잡고 매수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하락 다이버전스는 주가는 상승하는데 보조지표는 고점을 높이지 못하고 낮아지면서 하락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타나면 주가하락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하락 예고신호로 받아들여 매도타이밍을 잡고 매도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RSI 지표를 통해서 과매도와 과매수를 분석할 수 있는데, RSI의 값은 0부터 100까지의 지표로 나타나 있습니다. 보통은 30이하일 경우에는 과매도로 판단하고, 70이상일 경우에는 과매수라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추세가 강한 시장의 경우에는 과매수와 과매도의 기중을 각각 80, 20으로 잡기도 합니다. 보통 RSI 수치가 30이하일 경우에는 매수전략을, RSI 수치가 70이상일 경우에는 매수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과매도나 과매수 구간을 파악하여 매수 매도 전략을 세울수도 있지만, 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을 시작한 순간 바로 매수 또는 매도를 해버린다면 너무 빠르게 추세를 이탈하는 것이기 때문에 처음 시작 구간에서는 그냥 흐름상의 예고 정도로만 받아들여서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본 뒤에 매매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제테크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린저밴드를 사용한 매매방법 (0) | 2017.09.12 |
---|---|
일목균형표란 무엇인가 (0) | 2017.09.11 |
상승추세 캔들패턴 (0) | 2017.09.09 |
하락추세 캔들패턴 (0) | 2017.09.08 |
차트 기본용어 정리 (0) | 2017.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