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림목 매매기법

2017. 8. 23. 07:30제테크 공부방

안녕하십니까 쩨리삼촌입니다. 눌림목을 이용한 매매기법이란 무엇인지 아십니까? 눌림목이란 주가가 많이 올라서 새로운 투자자들이 매수를 쉽사리 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상황과 주가가 상승을 한 만큼 시세차익을 보려고 매도하려는 세력들이 나타나면서 주가가 올라가지 못하고 단기간 눌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눌림목은 보통 단기 조정으로서 조금만 지나면 주가가 다시 상승하는데 매수를 하려면 상승세 초반에 눌림목이 나타날 때가 제일 좋은 시기 입니다.

하지만 주가가 상승하지 않았는데 조정을 받는다면 그건 눌림목이라고 하지 않고 그냥 눌린 것 입니다. 웃긴게 과거의 차트를 보면 주가가 하락을 하고있을 때 조정을 받았다면 그 지점이 눌림목인지 쉽게 알 수 있지만 현재의 주가를 볼 때 주가가 하락을 하는 중이라면 이 지점이 눌림목인지 아니면 그냥 하락을 하고있는것인지 판단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론상으로는 지금이 눌림목 이란걸 생각할 수 있지만 사람 심리라는게 막상 실전에서는 그냥 이대로 훅 떨어지는게 아닌지 생각하다보면 매수시기를 놓치기 쉽고 정확한 판단을 하기가 어렵기에 이론적으로는 쉽다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실전에서 응용하기에는 어려운 매매기법입니다. 잘 숙달 시켜서 제대로 차트를 읽고 멘탈을 강하게 만들고 마인드 컨트롤을해서 상승차선에 올라타기만 한다면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눌림목을 잡아내는 시기를 연습해야 하는데 눌림목을 잡아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눌림목을 발견할 때 확일할 것은 주가가 횡보를 한 후 급등을 했는지를 파악해야 하는데 주가가 앞서 말했듯이 상승을 했을 때 눌리는것을 눌림목이라고 하기 때문이고 주가가 급등을 하기 위해서는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그리고 수익실현을 위해서 차익을 매도하는데 그 때 눌림목이 나타나며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거래량이 감소합니다. 거래량 감소의 이유는 심리 때문인데 급등을 보인 주가가 더욱 더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물량을 내놓지 않고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지금의 주가가 많이 올랐고 자신이 생각했던 상승폭에서 이만하면 괜찮다고 생각하며 매도를 하는 사람들 보다 주가가 지금보다 더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며 매도를 하지않고 가지고 있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에 거래량이 감소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주가가 급등 후 하락을 할 때 거래량의 감소가 보이지 않고 하락한다면 이것은 눌림목이라고 볼 수 없고 그냥 하락한다고 봐야합니다. 눌림목은 상승차트에서 나오는데 매수세가 강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매수세는 지지선을 무너뜨리지 않고, 주가가 하락하면 나타나서 올려줘야지 그렇지않고 믿었던 지지선까지 무너져 버린다면 눌림목으로 볼 수 없습니다.

'제테크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승돌파 매매기법이란  (0) 2017.08.25
추세선 매매기법이란  (0) 2017.08.24
사케다 전법이란  (0) 2017.08.22
엔벨로프 매매법이란?  (0) 2017.08.21
박스권 매매란  (0) 2017.08.20